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6)
프리티어, 나를 너무 편하게 해줬던 그대에게 안녕하세요 !! 🙋🏼‍♀️🙋🏼‍♀️ 오늘은 제가 프리티어 없이 직접 코드를 쳐보면서 느낀 이야기,그리고 멘토님의 조언이 현실이 된 순간에 대해 기록해보려고 합니다!전에 멘토님께서 그러셨어요.“프리티어는 공부할 때는 안쓰는게 좋아요 .,!” 솔직히 그 때 무슨 생각 했냐면,,,, ' 너무 아날로그가 아니이ㄴ..지.......''혹시... 나를 강하게 키우려는???' 🤨먼가 수학 연산 전에 주판 계산 부터 가르쳐 주시려는 수학선생님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ㅎㅁㅎ 여튼 멘토님의 의도는 분명했습니다.“코딩 테스트나 실전 환경에선, 보조 도구를 못 쓸 수 있다.스스로 써나갈 수 있어야 한다.” 그러니까 스스로 직접 쓰는 것이 된 단계에서 보조로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고 하셨습니..
만들어보자 404 페이지! 안녕하세요! 오늘 문득 제가 왜 디자인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대학교 시절 아동법률 관련한 수업을 강의안으로 PPT를 제작해 발표하는 과정이 있었습니다. 그 때는 하나하나가 모두 지옥이였지요. 하지만 저는 생각했어요. 어떻게 하면 딱딱한 법률을 재밌게 구성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동기들이 한번에 몰입할 수 있게 될까 그렇게 신경쓰기 시작하게 된 것이 ppt 기획안이였고, 디자인이였습니다. 😊😊 네..! 그 때 당시 교수님께 많은 칭찬도 들었고 동기들도 반짝반짝하게 잘 들어주었던 기억이 나네요.! 그렇습니다. 교수님께 칭찬을 받았던 경험이 디자인에 대한 열정을 키워준 것 같아요 , 이러한 제 경험은 현재 프론트엔드에서 페이지의 UI 작업, 디자인 관련 분야에서..
리액트 쿼리와 Cache 프로젝트를 하다가 문득 궁금해졌다. "React Query는 왜 중요하다고 하는걸까?" 바로 "캐시". 캐시? 캐쉬? 케시? .. 넥슨 캐시 문상이나 긁어봣지 저장소 캐시는 처음이다. 철자도 다르다 Cache...! 오 생소해... 그래서 파봤다.브라우저에서 이미지나 스크립트를 저장해놓는 캐시는 익숙했지만,React Query에서 말하는 캐시는 좀 달랐다.이 친구는 '데이터' 자체 를 기억한다. 그것도 단순히 저장만 하는 게 아니라 상태(fresh, stale, inactive)까지 구분해서언제 다시 가져올지, 언제 버릴지, 스스로 판단까지 한다. staleTime, gcTime… 얘네는 타이머인가ㅋ여기서 다시 궁금해졌다."그럼 fresh에서 stale로 바뀌는 건 어떻게 결정하는걸까""그 기준이..
커밋 메세지와 표기 명명 규칙 일반적으로 쓰이는 커밋 메세지와 표기 명명규칙이 있습니다. 초보의 입장에서 스네이크 케이스와 카멜케이스는 많이 들어보았는데 이 밖에도 하나씩 알아가는 것들이 많아 한번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스네이크 케이스 (snake_case)header_nav, user_list, api_response주로 Python, DB 필드명, 일부 JSON 구조 등에서 사용가독성 좋고, 전통적인 방식!2. 케밥 케이스 (kebab-case) header-nav, main-section, dark-mode-toggleHTML, CSS 클래스명, 파일명에 주로 사용됨URL이나 파일 경로에 적합 (공백 없이 읽히기 쉬움)3. 카멜 케이스 (camelCase)ex) headerNav, userList, apiRespo..
환경 변수와 500 에러 해결 방법에 대한 고찰 현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환경 변수는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환경 변수란 무엇일까요? 환경 변수는 운영 체제나 애플리케이션에서 설정할 수 있는 변수로, 시스템이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 값을 저장합니다. 이러한 환경 변수는 주로 설정 관리, 환경별 설정, 보안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 연결 정보나 API 키와 같은 민감한 정보를 코드에 직접 포함시키지 않고 환경 변수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개발, 테스트, 프로덕션 등 각기 다른 환경에 따라 다양한 설정 값을 적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를 배포한 후 예상치 못한 500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00 에러는 서버 측에서 발생하는 일반적..
웹페이지 제작 프로젝트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수강생입니다. 팀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유저플로우를 만들고 있어요! . 모든 작업을 손으로 시작하는 편입니다. . 진짜 손으로 해요 !이래야만 브레인 스토밍이 잘 되더라구요 어쩔 수 없는 90년대 세대인가 봄니다. 평상시 질문이 많은 편입니다. 깊게 보는 건 좋으나질문 안에서 길을 잃을 때가 많아요. 그래서 자주 써놓는 편입니다. 이번 유저 플로우도 엄청 헤맸습니다. 그래도 좋은 결과 바래봅니다.